반응형 아동관찰 및 행동연구57 관찰유형과 자료 활용 – 관찰자료의 활용 1. 관찰자료 수집의 의의 유아의 행동은 때로는 빠르게 바뀌는 것 같이 보이거나 순간적으로 활동이 전혀 없는 상황으로 보이기도 한다. 어떤 행동들은 자료로 수집하기에는 무의미하고, 사소하며, 순간적인 일로 여길 수도 있다. 그렇지만 이런 단편적인 생생한 관찰자료들이 모여서 이해하기 어려운 유아의 모습이 드러나게 되는 것이다. 유아가 급속한 발달상의 변화를 보인다는 점을 고려할 때 교사들이 바쁜 일과 중에 작성한 관찰자료는 유아 프로그램 자체의 계획과 전개를 위한 중요한 자원이 된다. 교사가 동일한 유아를 일정 기간 관찰한 자료들은 그 대상 유아뿐만 아니라 그 연령대 유앙들의 발달적 특성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고, 관찰자료를 수집하는 자체가 유아를 돌보는 방법을 개선하고 개인차를 고려한 지도에 도움이 된.. 2023. 2. 16. 관찰유형과 자료 활용 – 관찰에서의 오류 1. 관찰자와관련된 오류 관찰은 관찰자의 훈련과 전문성에 따라 그 질적 수준이 달라질 수 있다. 관찰자 자신이 측정도구의 일부분이므로 관찰의 성패는 관찰자에게 달려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대부분의 관찰자료는 관찰자 자신의 지각을 통하여 관찰·기록·분석되므로 관찰자가 갖기 쉬운 편견이나 오류가 존재하는데, 이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홍순정 외, 2010). 첫째, 관찰자의 민감성에 대한 문제로 유아의 행동이나 움직임 또는 표정을 포착하여 기술할 수 있는 민감성은 개인의 특징에 많이 의존하지만 훈련을 통해서 개선될 수 있다. 둘째, 유아발달에 대한 지식이나 사전 경험의 정도에 대한 것으로 이는 교사가 유아에 대해 아는 만큼 관찰할 수 있다는 것이다. 발달 관련 지식이 많을수록 발달의 중요한 이정표가 되.. 2023. 2. 15. 관찰유형과 자료 활용 – 관찰 및 사례연구 ■ 관찰 중심의 연구 1960년대 이전의 유·아동과 청소년에 대한 경험적 연구 논문들에서는 자연적 관찰연구가 별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그 수가 비록 적기는 하나 대부분 학령 전 유아를 대상으로 한 것이었다. 1930년대와 1940년대에는 주로 현장 관찰 연구가 이루어지다가 1950년대에 들어서면서 점차로 면접과 같은 비자연적 관찰기법이 주류를 이루게 되었고, 1960년대 초반에는 실험실 연구로 바뀌는 경향을 보였다가 관찰연구에 대한 관심이 다시 고조되기 시작했다. 연구기법도 다양하게 변하였는데, 유아를 수동적인 존재로 보는 관점에서 능동적인 존재로 보는 관점으로 변화하면서 연구방법도 달라졌다. 부분적으로는 유아와 호혜적인 상호작용을 강조하는 경향에 의한 것이다. 자연적 맥락에서 아동관찰은 관련성과 타당도.. 2023. 2. 14. 관찰유형과 자료 활용 - 관찰의 접근방법 관찰은 관찰하려는 행동장면을 인위적으로 통제하느냐와 통제하지 않느냐에 따라 자연적 관찰과 통제적 관찰로 나눌 수 있으며, 관찰자가 직접 활동장면에 참여하느냐의 여부에 따라 참여관찰과 비참여관찰로 구분해 볼 수 있다. 1. 자연적 관찰과 통제적 관찰 자연적 관찰이란 관찰장면을 조작하거나 인위적으로 어떤 특별한 자극을 주지 않고 자연적 상황에서 발생하는 행동과 사건을 있는 그대로 관찰하는 방법이다. 자연적 관찰은 어떤 목적을 가지고 조작된 상황에서 관찰하는 것이 아니라 자연스런 상황에서 일어나는 행동들을 관찰하기 때문에 관찰자료들은 우발적이며 단편적인 것이 되는 경우가 많다. 그러므로 보다 치밀하고 조직화된 관찰을 위한 예비단계로서 활용되기도 한다. 분명한 목적을 설정하지 않으면 체계화된 관찰을 하기 어렵기.. 2023. 2. 13. 이전 1 ··· 7 8 9 10 11 12 13 ··· 15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