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엄마표 수업240 발생적 문식성(1980년대~현재) 1. 발생적 문식성의 개념 문식성 발달에서 읽기 준비도 관점은 1980년대에 사회언어학, 인지심리학, 상호작용론의 영향으로 발생적 문식성(emergent literacy) 관점으로 전환되었다. 발생적 문식성이라는 개념은 클레이(Clay, 1966)가 처음으로 사용했고, 읽기 준비도를 갖추기 이전이나 형식적 교육을 받기 전에 읽거나 쓰기를 하고, 유아가 글자를 창안해 내는 연구 결과가 보고되면서(Chomsky, 1979; Read, 1975), 읽기와 쓰기에 대한 발생적 관점이 더욱 지지를 받게 되었다. 발생적 문식성은 유아가 취학 전에 읽고 쓰기에 대한 형식적 지도를 받기 전에 실생활에서 자연스럽게 읽기와 쓰기를 배우게 한다. 성인 수준의 읽기와 쓰기는 아니지만 시각적 상징을 활용하여 의미를 이해하고 전.. 2022. 12. 21. Callahue와 Gilliom 동작교수법의 강조점 Gallahue와 Gillom의 두 교수방법은 신체를 이용하여 스스로 자기 신체와 동작을 탐색하게 하는 방법으로서, Laban의 이론에 기초를 둔 동작교육의 신체적 접근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이 두 가지 교육방법에서 공통적으로 강조하는 것은, 동작교육에서 교사는 될수록 유아에게 스스로 탐색하고 실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라는 것이다. 교사가 시범을 보이고 따라 움직이도록 유도하는 것은 유아를 꼭두각시로 만드는 일이므로, 교사는 융통성과 인내심을 가지고 유아에게 충분한 기회와 시간적 여유를 주어 스스로 생각하고 느끼도록 해 주어야 한다. 제시하고 질문하는 형식을 통해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상황을 만들어 줌으로써 발견, 탐색할 기회를 주자는 것이다. 물론 목적 없이 제시된 문제와 상관없는 행동을 해도.. 2022. 12. 21. 연구에 의한 문식성 관점 변화기(1960~1980년대) 유아의 문식성에 대한 연구 결과는 1950년대부터 읽기 준비도에 깊이 뿌리내린 실제에 도전하게 되었다. 틸(Teale, 1982)은 부분에서 전체로 진행되는 기술의 체계를 가진 전형적인 문식성 교육과정은 유아들이 읽기를 배우는 방식을 반영하지 못한다고 주장하였다. 블록 영역, 극화놀이 영역이 많은 학급에서 사라졌고, 사회교육과 과학에서 간학문적인 영역이 글자를 학습하는 것과 같은 기술 훈련으로 대체되는 경우가 많았다. 학급은 더 이상 유아 중심이지도 않고 학습지를 순서대로 하는 데 시간을 보낼 뿐이었다. 1. 구어발달 연구 1960년대와 1970년대 사이에 이루어진 유아들이 구어를 어떻게 배우는가에 대한 연구에 의해 그 이전인 1930년대부터 1950년대까지 뿌리내렸던 문식성에 대한 태도가 도전을 받게 .. 2022. 12. 20. Gilliom의 문제해결식 동작교수법 ■ Gilliom 문제해결식 동작교수법의 기본개념 Gilliom(1970)은 학습에서 가장 기본적인 과정을 발견으로 보고 가장 효과적인 방법으로서 다양한 문제해결 기술을 제시하였다. 문제해결식 접근방법에서는 해결해야 할 문제나 문제상황을 제시하고 그 문제를 해결하는 기술을 유도할 때 그 문제가 곧 학습활동이 된다. 문제 중에서 가장 자극적인 것은 표준해결책이 없는 문제나 한 가지의 옳은 해결책만을 요구하지 않는 문제라고 할 수 있다. 동작문제(학습활동)를 설정하여 제시할 때 고려해야 할 다섯 가지 일반적 기준을 보면 다음과 같다(Gilliom, 1970, pp. 47~48). ① 기본문제는 표준해답이 없는 것이어야 한다. ② 보조문제는 유아가 스스로 발견하지 못할 때만 제시해야 한다. 보조문제는 기본문제.. 2022. 12. 20. 이전 1 ··· 55 56 57 58 59 60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