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엄마표 수업240

의사소통장애: 언어 및 말장애의 정의 및 아동의 언어발달 ■ 정의 및 유형 1. 정의 의사소통장애는 과거에는 음성장애, 음운장애, 말더듬이 등 말장애가 주된 대상이었으나 제2차 세계대전 이후에는 청각장애를 이 분야에 추가하였고, 그 뒤로 다시 언어발달지체와 실어증 등을 포함하였다. 의사소통이란 상징부호를 일정한 규칙에 맞춰 사용함으로써 아이디어를 교환하는 것이다. 따라서 의사소통에는 말이나 대화뿐만 아니라 문자언어, 수화, 지화, 점자, 몸짓 등 의사소통의 수단이 포함된다. 의사소통장애에는 언어장애(language disorder)와 말장애(speech disorder)의 두 가지가 있다. 언어장애아동은 의사소통에 사용하는 상징과 규칙을 사용하고 이해하는 능력이 같은 연령의 대부분의 아동보다 뚜렷하게 뒤떨어진다. 다시 말하면, 언어장애아동은 다른 사람과의 의사.. 2023. 4. 11.
자폐범주성 장애아의 교육적 처치(사회성 기술의 지원) 3. 사회성 기술의 지원 자폐범주성 장애아동의 사회성 기술을 증진하기 위한 지도방안은 다양하지만 여기에서는 상황 이야기(social story), 파워카드 전략(power card strategy), 상황-대안-결과-선택-전략-모의연습(situation, options, consequences, shoices, strategies, simulation: SOCCSS)만 살펴본다. ① 상황 이야기 상황 이야기란 특정 상황과 관련된 분명한 사회적 단서와 적절한 반응을 설명해 주는 개별화된 인지적 중재방법으로 자폐아동을 위해 개발한 것이다(Gray, 2000). 상황 이야기는 어디에서 왜 어떠한 상황이 발생하며 다른 사람은 어떻게 느끼며 반응하는지, 또는 무엇이 그들의 감정과 반응을 자극하는지를 설명하는 것은.. 2023. 4. 10.
자폐범주성 장애아의 교육적 처치 ■ 교육영역 자폐성 장애아동에 대한 교육은 조기에, 집중적으로, 계속적으로 그리고 구조화해야 한다. 단지 하루 몇 시간의 중재는 효과가 없으면 효과적으로 교육하기 위해서는 가능한 한 이른 시기에, 즉 영·유아일 때 시작하고 최소한 1주일에 5일(적어도 25시간) 이상은 교육에 적극적으로 참여시켜야 한다. 이들에게 일대일 교육이나 소집단 교수가 유용하지만, 가정이나 학교 등 다양하고 자연스런 환경에서 교육하는 것 또한 중요하다. 의사소통에서의 결함은 자폐아들이 보이는 가장 큰 장애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교육목표는 이러한 결함을 극복하는 데 중점을 두어야 한다. 이들이 사회적·행동적 문제를 비롯한 폭넓은 범위의 발달장애를 갖고 있을지라도 자폐성 장애의 중심에 의사소통기술의 문제가 있다. 의사소통기술은 사.. 2023. 4. 9.
자폐범주성 장애의 판별과정 ■ 선별 자폐아동의 부모는 대부분 생후 1년 정도까지는 자신의 자녀가 정상적으로 의사소통을 했고 안아 주거나 얼러 주는 것을 좋아했다고 보고하고 있다. 그러나 12~15개월 사이에 아동이 특정 소리나 접촉에 대해서 과잉반응을 보였고, 더 이상 간단한 어휘나 몸직을 이해하는 것 같지 않고, 위축이 되는 듯 했고. 반복적으로 이상한 행동을 하는 경우가 늘었다고 한다. 자폐의 증후가 생후 1년 이전에 나타나는 경우도 있기는 하지만 이러한 경우에도 전체적 발달기준에서는 지체가 보이지 않는다. 즉 대부분의 경우 앉거나 기고 걷기 시작하는 행동에서는 지체를 보이지 않으나, 사회성이나 의사소통 영역에서는 비정상적 발달이나 지체를 보인다. 생후 1년 반 사이에 나타나는 자폐의 증후로는 몸짓이 부족하거나 보호자의 얼굴 .. 2023. 4. 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