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통합교육84

영유아의 신체발달 영유아의 신체발달은 생물학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 신체발달은 생물학적 요인의 영향으로 개개인에 따라 성장하는 속도가 다를 수는 있으나 신체적 성숙과 운동발달의 순서는 모든 유아에게 일치한다. 환경적 요인 가운데 영양, 질병 및 정서적 스트레스는 신체발달에 영향을 미친다. 특히 영양부족은 유아의 신체발달을 느리게 하며 장기적인 영양부족은 뇌 성장과 신장, 체격에 영향을 미친다. 1. 신장 및 체중의 변화 출생 후 2년 동안은 다른 어느 시기보다 신체적으로 급속히 성장하는 시기로 가장 변화가 크게 나타나는 것이 신체와 체중이다. 출생 시 3.0~3.5kg이었던 신생아는 12개월이 되면 출생 시 갓난아기 때보다 몸무게가 3배가 되고 2세경에는 약 4배가량이 된다. 신장을 살펴보면 출생 시.. 2023. 2. 26.
통합교육을 위한 구성요인 ■ 장애아동 통합상황에서 핵심은 장애아동 자신이다. 만약 장애아동이 통합환경에서 나아진 점이 조금도 없다면 통합교육은 관심의 대상이 되지 않는다. 그렇다면 통합교육은 모든 아동에게 효과적인가? 지난 몇 년 동안의 연구결과를 보면, 어떤 연구는 긍정적인 결과를 보고하였지만 일부 연구는 그렇지 않기도 하다. 또한 장애의 유형이나 정도에 따라서도 다른 결과가 보고되고 있다. 예를 들어 한 연구(Salend & Duhaney, 1999)에서는 중도장애아동은 통합교실에서 더욱 나은 우정을 맺었으나 학습장애아동은 그렇지 않았다. 즉 학습장애아동은 시간이 지나면서 점점 또래에게 덜 수용이 되었으며 자아개념이 일반 또래보다 떨어졌다. 그렇다면 어떠한 아동이 통합교육을 받아야 하는가? 이제까지의 통합을 살펴보면 과거에는.. 2023. 2. 25.
관찰과 교수-학습 환경 : 바깥놀이터 1. 바깥놀이터의 특성 유아교육기관의 바깥놀이터는 영아를 위한 놀이터와 유아를 위한 놀이터로 구분할 수 있다. 영유아를 위한 놀이터를 디자인하기 위해서는 영유아의 발달적 특성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영아를 위한 놀이터는 감각운동기에 해당하는 발달적 특성을 고려하여 디자인되어야 한다. 영아는 감각기관과 몸의 움직임을 이용하여 주변의 환경을 이해하므로 다양한 감각운동 활동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영아를 위한 바깥놀이터는 영아의 신체적 발달을 고려하여 놀이기구의 크기가 유아놀이터보다 상대적으로 작으나, 안정성과 감각적인 자극을 고려하여 놀이기구들을 선택해야 한다. 영아들이 걷기 시작하면서 기동성이 생기면 주변의 모든 물건들을 만져보고 느껴 보려고 한다. 영아들의 바깥놀이터에는 손으로 잡을 수 있는 놀잇감, 종.. 2023. 2. 25.
통합교육의 당위성 및 영향 – 통합교육의 영향 1. 장애아동에게 미치는 영향 ① 학업적 측면 먼저 학업적 측면을 살펴보면 결론적으로 일반교육현장에서 적절한 교육과정과 교수로 교육했을 때 장애아동의 학업성취의 정도가 높아질 수 있다고 한다. 예를 들어 초등학교 아동의 경우, 경도장애아동은 표준화검사 결과 수학, 읽기, 학습동기, 학교에 대한 긍정적 태도 등이 높아졌다(Idol, 2006). 또한 통합교육을 받은 정신지체아동과 중도장애아동의 경우도 통합교육을 받지 않는 장애아동보다 학습활동에의 참여나 수업에 집중하는 시간이 더 길고 목표기술을 더 많이 습득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Cushing, Clark, Carter, & Kennedy, 2005). 일부 연구들(Dymond & Russell, 2004)에서는 통합교육의 학업적 효과에 이의를 제시하기.. 2023. 2. 2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