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통합교육84

관찰과 교수-학습 환경 : 물리적 환경2 1. 흥미 영역 자유놀이 시간을 위한 흥미 영역의 구성은 교사의 철학, 유아를 도와줄 수 있는 성인의 수, 기관의 경제적 사정, 자료의 양과 종류, 공간의 크기, 교사나 유아가 고안한 창의적 아이디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교실배치, 자료의 조직, 사용할 영역의 수, 영역에서 보낼 시간, 유아에게 소개하는 과정 등을 고려하여 준비가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교사가 교실 내에 어떤 영역을 포함시킬 것인지 결정할 때는 어떤 영역이 대다수의 유아들에게 최선의 발달적 가능성을 제공해 줄 수 있는지 고려해야 한다. 교실은 보통 다양한 크기의 역할놀이 영역, 적목 영역, 조형 영역, 대근육 영역 등의 흥미 영역으로 나뉘어져 있다. 놀이공간 분할의 주된 이유는 전반적으로 놀이의 질을 향상시키고 융통성을 극대화시키기.. 2023. 2. 24.
통합교육의 당위성 및 영향 – 통합교육의 당위성 69쪽 1. 통합교육의 당위성 1) 법적 당위성 미국은 1975년 공법 94-142인 「전장애아교육법」(Education for all Handicapped Children Act)을 제정·통과시키고 1990년 연방법인 「장애인교육법」(The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education act: IDEA)에 통과되어 통합교육을 실현하기 위한 법적인 근거를 마련하였다. 이 법은 모든 아동이 자신의 장애 종류 및 정도에 관계없이 적절한 무상 공립교육을 받을 권리가 있다고 명시하였으며, 특히 최소제한환경의 원리를 규정하여 장애아동은 가능한 한 일반아동과 함께 일반교육기관에 배치해야 한다고 규정하였다. 이것은 어느 누구를 막론하고 되도록 일반환경에서 생활하고 교육받아야 한다는 원리 하.. 2023. 2. 23.
관찰과 교수-학습 환경 : 물리적 환경1 교사는 유아교육기관에서 유아의 행동과 의사소통을 관찰함으로써 유아의 발달적 특성을 알 수 있으며, 교실에서 이루어지는 교수-학습에 대한 정보 및 유아-유야, 교사-유아와의 상호작용에 대해 알 수 있다. 영유아의 기본생활습관을 지도하면서 유아가 발달적 특성에 맞게 발달이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살필 수 있으며 유아 행동에서의 어려운 점과 특이점 등에 대한 객관적 자료를 수집하고 이를 활용할 수 있다. 교사는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관찰방법을 개발하거나 이미 사용되고 있는 여러 관찰지를 사용할 수 있다. 자신이 개발한 행동목록표 혹은 평정척도를 활용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일상생활에서 자연스럽게 일어나는 유아의 행동을 관찰함으로써 유아의 성장발달을 돕는 데 필요한 자료를 수집하고 이를 활용하여 유아에 .. 2023. 2. 23.
통합교육의 역사적 배경 장애아동의 통합교육은 그 용어의 변천에서도 알 수 있듯이 20세기에 들어서 시작된 것으로 전문가들이 통합교육을 강조하게 된 것이 불과 30~40년밖에 되지 않는다. 그러나 통합교육은 비교적 짧은 기간에 급속히 성장하였는데 이러한 배경에는 정상화의 원리와 같은 철학적 믿음과, 탈시설수용화와 같은 사회적 움직임 그리고 최소제한환경의 의무화 같은 법제정 등이 큰 역할을 했다(Trunbull, Turnbull, Shank, Smith & Leal, 2002). 통합교육의 움직임을 가속화하는 데 영향을 준 것은 1980년 중반의 일반교육주도이다. 1. 정상화원리 통합교육은 정상화원리(principle of normalization)에 뿌리를 두고 있다. 정상화원리란 복지에서 선도적인 스칸디나비아의 니르제(Nirj.. 2023. 2. 2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