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통합교육84

일화기록법의 활용 교실에서 영유아와 함께 생활하는 가운데 교산느 특정 유아가 나타내는 행동에 대해 관심을 갖게 되고 특정 행동에 대해 자세히 알고 싶을 때가 있다. 예를 들어 교실에서 공격적 행동을 나타내며 또래를 밀치거나 넘어뜨리거나, 혹은 때리는 행동을 나타내는 철수에 대해 특정 행동을 나타내는 이유가 무엇이며 어떤 상황에서 이러한 행동을 나타내는지에 대해 이해하고자 하는 경우 일화기록법을 활용할 수 있다. 일화기록법은 영유아를 고나찰하는 데 가장 오랫동안 사용된 방법이며 가장 많이 사용되는 관찰법이다. 일화기록법은 특정 행동이나 사건이 발생하는 시간이나 장소에 제한을 받지 않고 사용할 수 있다. 일화기록법은 특별한 준비나 계획이 없이 관찰자가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사건이며 무엇이든 그때그때 기록하면 되므로 교사의 입장.. 2023. 2. 19.
관찰유형과 자료 활용 – 관찰의 유형(시간표집법, 행동목록법, 평정척도법) ■ 시간표집법 1. 일반적 특성 시간표집법(time sampling)이란 시간을 표집해서 관찰하는 방법으로, 관찰하고자 하는 특정 행동이 정해진 짧은 시간 내에 얼마나 자주 일어나는지의 행동 출현 빈도를 수집하는 것이다. 비교적 짧고 일정한 시간 사이에 행동이 얼마나 발생하는가를 양적으로 측정하는 방법이며, 빈도표집이라고도 한다. 예를 들면 특정 유아의 공격적 행동을 관찰하고자 할 때 미리 계획을 세워 1분 관찰 후 30초 기록하는 방식으로 15분 동안 10회의 관찰을 할 수 있다. 이 방법의 변형으로 반복표본법(method of repeated samples)이 있다. 이것은 한 유아를 1분 고나찰하고 30초 기록한 다음, 다른 유아를 1분 관찰하고 30초 기록하는 방법으로 참여대상을 바꾸어 가면서 관.. 2023. 2. 18.
관찰유형과 자료 활용 – 관찰의 유형(표본식 기록, 일화기록, 사건표집법) 75쪽 1. 표본식 기록 1) 일반적 특성 표본식 기록(specimen description)은 지속적인 관찰기록법으로 행동의 일화를 가장 자세하고 완전하게 표현하는 관찰방법이다. 즉, 관찰자가 참여대상이나 장면을 미리 정해 놓고 그 장면에서 일어나는 유아의 행동과 상황을 모두 집중적으로 기술한다. 따라서 표본식 기록은 현장에서 관찰할 때 어떤 부분만을 선택하는 것이 아니라 ‘전체’를 기록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황해익, 2000). 그러나 아무리 자세하게 쓴다고 해도 계속해서 움직이는 유아를 대상으로 하나도 빼놓지 않고 모든 것을 기록한다는 것은 불가능하므로 이때 관찰의 목적이 무엇인지를 염두에 두면 도움이 될 수 있다. 표본식 기록을 하는 경우는, 첫째, 어떤 행동에 대한 해석이나 평가를 하려는 것.. 2023. 2. 17.
관찰유형과 자료 활용 – 관찰자료의 활용 1. 관찰자료 수집의 의의 유아의 행동은 때로는 빠르게 바뀌는 것 같이 보이거나 순간적으로 활동이 전혀 없는 상황으로 보이기도 한다. 어떤 행동들은 자료로 수집하기에는 무의미하고, 사소하며, 순간적인 일로 여길 수도 있다. 그렇지만 이런 단편적인 생생한 관찰자료들이 모여서 이해하기 어려운 유아의 모습이 드러나게 되는 것이다. 유아가 급속한 발달상의 변화를 보인다는 점을 고려할 때 교사들이 바쁜 일과 중에 작성한 관찰자료는 유아 프로그램 자체의 계획과 전개를 위한 중요한 자원이 된다. 교사가 동일한 유아를 일정 기간 관찰한 자료들은 그 대상 유아뿐만 아니라 그 연령대 유앙들의 발달적 특성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고, 관찰자료를 수집하는 자체가 유아를 돌보는 방법을 개선하고 개인차를 고려한 지도에 도움이 된.. 2023. 2. 1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