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통합교육84 관찰유형과 자료 활용 – 관찰에서의 오류 1. 관찰자와관련된 오류 관찰은 관찰자의 훈련과 전문성에 따라 그 질적 수준이 달라질 수 있다. 관찰자 자신이 측정도구의 일부분이므로 관찰의 성패는 관찰자에게 달려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대부분의 관찰자료는 관찰자 자신의 지각을 통하여 관찰·기록·분석되므로 관찰자가 갖기 쉬운 편견이나 오류가 존재하는데, 이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홍순정 외, 2010). 첫째, 관찰자의 민감성에 대한 문제로 유아의 행동이나 움직임 또는 표정을 포착하여 기술할 수 있는 민감성은 개인의 특징에 많이 의존하지만 훈련을 통해서 개선될 수 있다. 둘째, 유아발달에 대한 지식이나 사전 경험의 정도에 대한 것으로 이는 교사가 유아에 대해 아는 만큼 관찰할 수 있다는 것이다. 발달 관련 지식이 많을수록 발달의 중요한 이정표가 되.. 2023. 2. 15. 관찰유형과 자료 활용 – 관찰 및 사례연구 ■ 관찰 중심의 연구 1960년대 이전의 유·아동과 청소년에 대한 경험적 연구 논문들에서는 자연적 관찰연구가 별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그 수가 비록 적기는 하나 대부분 학령 전 유아를 대상으로 한 것이었다. 1930년대와 1940년대에는 주로 현장 관찰 연구가 이루어지다가 1950년대에 들어서면서 점차로 면접과 같은 비자연적 관찰기법이 주류를 이루게 되었고, 1960년대 초반에는 실험실 연구로 바뀌는 경향을 보였다가 관찰연구에 대한 관심이 다시 고조되기 시작했다. 연구기법도 다양하게 변하였는데, 유아를 수동적인 존재로 보는 관점에서 능동적인 존재로 보는 관점으로 변화하면서 연구방법도 달라졌다. 부분적으로는 유아와 호혜적인 상호작용을 강조하는 경향에 의한 것이다. 자연적 맥락에서 아동관찰은 관련성과 타당도.. 2023. 2. 14. 관찰유형과 자료 활용 - 관찰의 접근방법 관찰은 관찰하려는 행동장면을 인위적으로 통제하느냐와 통제하지 않느냐에 따라 자연적 관찰과 통제적 관찰로 나눌 수 있으며, 관찰자가 직접 활동장면에 참여하느냐의 여부에 따라 참여관찰과 비참여관찰로 구분해 볼 수 있다. 1. 자연적 관찰과 통제적 관찰 자연적 관찰이란 관찰장면을 조작하거나 인위적으로 어떤 특별한 자극을 주지 않고 자연적 상황에서 발생하는 행동과 사건을 있는 그대로 관찰하는 방법이다. 자연적 관찰은 어떤 목적을 가지고 조작된 상황에서 관찰하는 것이 아니라 자연스런 상황에서 일어나는 행동들을 관찰하기 때문에 관찰자료들은 우발적이며 단편적인 것이 되는 경우가 많다. 그러므로 보다 치밀하고 조직화된 관찰을 위한 예비단계로서 활용되기도 한다. 분명한 목적을 설정하지 않으면 체계화된 관찰을 하기 어렵기.. 2023. 2. 13. 유아발달 이론 – 다중지능 이론 가드너(1983, 1993)는 지능을 “문제를 해결하고 문화에 의해 높이 평가될 수 있는 성과나 업적을 창출할 수 있는 능력”이라고 정의하고, 다양한 문화와 시기에 따라 지능이 각기 다르게 평가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예를 들어 자연탐구 지능은 농경사회에서 결정적이고 언어적 지능이나 논리-수학적 지능은 기술문명에서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종래는 지능은 언어적 지능과 논리-수학적 지능만을 지나치게 강조하여 그 외의 지능이 우수한 아동의 능력을 제대로 인정하지 못했거나 계발해 주지 못했다. 따라서 가드너는 기존의 문화가 지능을 너무 좁게 해석하고 있다고 전제하고, 지능은 단일한 능력이 아니라 서로 독립적이고 상이한 여러 유형의 능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능력들의 상대적 중요성은 동일하다는 다중지.. 2023. 2. 12. 이전 1 ··· 9 10 11 12 13 14 15 ··· 2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