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통합교육84 유아발달 이론 – 정신분석 이론(프로이트 이론) 31쪽 정신분석 이론(psychoanalytic theory)은 19세기 후반 프로이트(Freud)의 이론에서 출발한다. 인간의 행동에 영향을 주는 정신의 무의식적인 힘을 분석하고 밝히고자 한다. 정신분석 이론에 의하면, 발달은 무의식적인 것이며 행동은 단지 표면상 나타나는 특성일 뿐이다. 아동발달을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행동의 상징적인 의미를 분석해야 하고, 마음속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는지 이해해야 한다. 프로이트의 심리성적(psychosexual) 이론과 에릭슨의 심리사회적(psychosocial) 이론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 프로이트 이론 인간의 행동에 대해 전적으로 새로운 견해를 제시한 심리학자는 그리 많지 않다. 인간의 본성에 대한 프로이트의 이론적 가정은 인간에 대한 개념을 극적으로 .. 2023. 2. 7. 유아발달 이론-성숙이론 성숙 이론에서 인간은 태어나면서 물려받은 특질에 의해 정해진 순서에 따라 발달한다고 가정한다. 예를 들어 아기가 기고 나면 설 수 있고 그다음에 걸을 수 있다든지, 사춘기가 되면 제2차 성징이 나타나는 것 등은 이를 학습했기 때문이 아니라 유전적으로 예정되어 있기 때문이라고 본다. 환경이 아동발달에 주도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하기 때문에 아동을 교육할 때 아동이 지닌 능력 이상을 강요하면 아동은 좌절하고 저항한다. 따라서 성숙 이론을 주장하는 이들은 아동 자신의 발달속도에 따라 발달할 수 있도록 아동중심의 양육환경을 제공할 것을 강조한다(조성연 외, 2009). 이러한 관점은 발달의 사전결정론(predeterministic doctrine)을 주장한 루소(Rousseau)의 자연주의 사상에서 철학적 근거를.. 2023. 2. 6. 유아발달이론 일상생활에서 우리는 발달이란 용어에 익숙하다. 그러나 ‘발달이 좋다.’ 혹은 ‘발달에 어려움이 있다.’ 라는 말을 자주 사용하나 이에 대한 명확한 의미를 알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발달이란 난자와 정자의 수정에서부터 인간이 죽음에 이르기까지의 시간의 변화, 즉 연령의 증가에 따라 나타나는 모든 변화를 의미한다. 또한 발달은 개인의 생애에서 일어나는 신체적·인지적·언어·사회-정서적 측면의 인간이 나타내는 양적 또는 질적인 행동, 능력, 심리적 특성의 변화로, 연령의 증가와 관련이 깊다. 따라서 대부분의 유아는 개인차가 있으나 연령에 따라 비슷한 발달과정을 거친다(홍수정 외, 2010). 유아발달과 관련하여 유아의 ‘성장’ 혹은 ‘성숙’ 이라는 용어도 많이 사용한다. ‘성장은 니체의 크기나 능력이 증가하는 .. 2023. 2. 5. 관찰법의 장점과 단점 관찰법은 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지도와 평가에서 효율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유아교사는 관찰법에 대해 체계적으로 이해하고 실제적인 활용방법에 익숙해질 필요가 있다. 1. 관찰법의 장점 관찰법의 장점은 다음과 같다(황해익, 2000). 첫째, 비언어적 행동에 대한 자료수집에서 조사연구나 실험연구보다 더 유용하다. 둘째, 비교적 자세하고 풍부하며 생생한 정보를 많이 수집할 수 있으며 실험연구를 더욱 체계적으로 하기 위한 연구가설을 설정하는 데 기초를 제공할 수 있다. 셋째, 관찰을 실시할 때 관찰대상의 의도적인 방해를 받지 않는다. 넷째, 관찰대상의 능력이나 교육 정도에 제한받지 않는다. 다섯째, 관찰대상과 친밀성을 유지할 수 있어 심층적인 자료수집이 가능하다. 위에서 제시한 관찰법의 장점과 함께 다음의 사항.. 2023. 2. 4. 이전 1 ··· 11 12 13 14 15 16 17 ··· 2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