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통합교육84 관찰기록의 방법 관찰을 기록할 때 생각해야 하는 것은 관찰할 행동을 어떻게 관찰할 것인지와 그 행동을 어떻게 기록할 것인지이다. 관찰할 행동을 어떻게 관찰할 것인지 결정하는 것을 관찰의 단위 설정이라고 말한다. 1. 관찰의 단위 설정 관찰의 단위란 관찰할 행동을 어떤 형태로 구분하여 관찰하느냐 하는 것이다. 대체로 관찰할 때 관찰할 행동은 대단위 행동관찰과 소단위 행동관찰로 구분해 볼 수 있다. 대단위 행동관찰이란 전체적인 측면에서 행동이 어떻게 변화하는지에 초점을 두는 것이며, 소단위 행동관찰은 세세한 행동이 어떻게 진행되는지의 문제이다. 유아의 공격성에 대해 관찰한다면 대단위 행동관찰은 전체적인 행동과 관련하여 공격성이 어떻게 나타나고 진행되는지의 문제에 초점을 두고 관찰하며, 소단위 행동관찰은 구체적인 공격적 행동.. 2023. 2. 3. 유아 관찰법 – 관찰법의 절차 관찰법은 대체로 관찰을 실시하기 위한 여러 가지 세부적인 계획을 구정하는 준비단계, 실제로 관찰하는 관찰단계, 그리고 관찰한 자료들을 통해 현상을 이해하고 해석하는 평가단계로 나눌 수 있다. 1. 준비단계 관찰은 현상에 대한 정보를 연구자의 눈을 통해 얻기 때문에 사전에 계획하지 않으면 원하는 정보를 얻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므로 관찰을 하기전에 구체적으로 관찰목적이나 관찰대상, 그리고 관찰장면 등에 대해 미리 준비하는 것이 좋다. 특히 시간표집법인 경우, 어떤 행동들을 관찰하여 기록할 것인지의 관찰행동 목록(behavior list), 관찰행동을 기록할 기록표, 관찰할 시간의 단위, 관찰기록 방법 등을 미리 준비해야 한다. 그리고 시간표집법에서는 같은 장면에서 관찰하는 관찰자가 여러 명일 경우가 .. 2023. 2. 2. 유아행동 연구-현장연구 현장연구는 더 많은 시간과 인적 자원을 필요로 하는데, 연구자는 연구대상의 자연적 환경인 환경에 직접 들어가서 그 대상읭 성장, 행동, 또는 중요한 특성을 설명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하게 함께 생활해야 한다. 인간에 대한 현장연구의 대부분은 인류학에서 유래된 것으로 미드(Margaret Mead)는 현장연구에서 얻은 지식에 일반 대중이 관심을 갖도록 하는 데 기여했다. 미드는 자신뿐 아니라 문화에 대한 이해를 확장시키기 위해 관찰법과 기록법을 사용했는데, 관찰은 오랫동안 이루어진 것이었으며 기록의 양은 방대했다. 이 자료를 근거로 자신의 이론을 정립하게 된 미드는 주로 하나의 주제를 놓고 아주 서술적으로 책을 썼는데, 1930년대에 쓴 Growing up in New Guinea라는 책에서는 자신이 관찰.. 2023. 2. 1. 발달적 연구 ■ 횡단적 방법 횡단적 방법은 현재 다른 연령층의 연구대상들의 특성을 상호 비교함으로써 연령에 따른 변화를 연구하는 방법이다. 예를 들어 6학년 전 학년의 아동의 신장과 체중의 변화를 보려고 할 때 한 아동의 키와 몸무게가 6년간 자라는 것을 기다려서 측정하는 것이 아니고 1학년 때부터 6학년까지의 아동을 동시에 각 연령층별로 표집하여 측정하는 것이다. 이에 비해 종단적 방법은 1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그들이 6년간 성장하는 과정을 매년 측정함으로써 변화를 알아내는 방법을 말한다. 횡단적 방법은 자료를 신속히 수집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표집과정과 규준설정, 통계적 절차 등에서 고려해야 할 문제들이 많이 있다. 각 연령집단이 동등한 표집이라고 했을 때, 상위 연령집단의 행동이나 특성은 하위 연령집단이 .. 2023. 1. 31. 이전 1 ··· 12 13 14 15 16 17 18 ··· 2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