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475

심리학과 현대의 유아교육 – 정신분석 이론 1. 프로이트의 생애 지그문트 프로이트(Sigmund Freud, 1856~1939)는 1856년 5월, 지금의 체코인 프라이베르크의 유대인 가정에서 태어났다. 프로이트는 어릴 때부터 공부를 잘하고 똑똑해서 부모의 기대를 받으며 자랐다. 1865년에 중등학교 과정인 김나지움에 입학하여 공부하였고, 17세 때 빈 대학 의과대학에 입학하여 생리학 연구소에서 브뤼케의 지도 아래 연구활동을 하면서 해부학과 신경생리학에 관심을 가졌다. 1877년, 해부학과 생리학에 관한 논문을 발표하였고 1881년에 의학박사학위를 받았으며 1885년까지 빈 종합병원에서 뇌 해부학을 연구하면서 다수의 논문을 발표하였다. 신경학과 신경장애에 관심을 가진 프로이트는 프랑스의 정신의학자 사르코에게 1년 동안 정신의학을 배웠다. 프로이트.. 2023. 6. 21.
심리학과 현대의 유아교육 – 성숙이론의 발달 패턴과 발달의 기타 원리 및 성숙이론에 대한 평가 1. 발달 패턴 성숙이론의 발달은 어떤 패턴을 지닌다. 이러한 패턴이란 뚜렷한 모양이나 형태를 가지고 있는 거승로, 어떤 행동들이 조직화되고 이것이 점차 누적되어 발달이 일어난다(김희태·정석환, 2012). 예를 들어 어떤 물건을 집기 위해서는 눈과 손의 협응이 이루어져야 한다. 눈과 손이 서로 협응되지 않는다면 물건을 집을 수 없기 때문에 눈과 손은 각각 발달되어야 하고, 이러한 발달은 서로 통합되어야 하며, 이로 인해 비로소 어떤 행동이 표출된다. 따라서 발달에서의 패턴은 분화와 통합의 과정을 거쳐 이루어진다. 분화와 통합의 모습은 발달이 어떤 형태를 지니고 있다는 것으로 곧 발달에서의 패턴화 과정(Patterning process)을 의미한다. 패턴화 과정을 통해 행동은 체계화되며, 이로 인해 발달.. 2023. 6. 20.
심리학과 현대의 유아교육 - 성숙이론 인간의 발달은 유전적·환경적 측면의 영향을 받는다. 이 가운데 유전적 측면에 의한 발달을 강조하는 입장이 성숙주의 혹은 성숙이론이다. 성숙이론(成熟理論)은 인간의 발달에 대한 환경적 요인의 영향을 최소한으로 인정하고 유기체가 지닌 내부의 발달기재에 의해 발달이 이루어지는 것을 강조한다. 따라서 성숙이론에서 성숙(成熟)이란 인간의 내부에 들어 있는 어떤 형태가 제대로 기능할 수 있도록 충분히 발육된 상태를 의미한다. 인간은 이미 성장하고 발달하는 어떤 것을 가지고 태어나며 이것은 시간이 흐르면서 자연히 나타난다. 이러한 성장은 정해진 발달 순서와 발달 단계에 따라 이루어진다. 성숙이론은 게젤과 그의 동료들이 예일 클리닉(Yale Clinic)에서 아동의 운동신경발달에 관한 연구를 통해 발전시킨 것으로 특히.. 2023. 6. 19.
근대의 유아교육 – 듀이 사상의 개요 및 듀이의 교육관 1. 듀이 사상의 개요 존 듀이(John Dewey, 1859~1952)는 미국의 교육개혁을 이끈 교육철학자이며 수천 년간 이어 온 서양의 이원론적 사고를 일원론으로 통합시킨 사상가이다. 전통적인 서양철학은 실제를 관념적이고 정신적인 차원과 물질적 차원이라는 이원적인 것으로 구분한다. 관념이나 정신 등은 상위의 가치이고, 물질, 일, 행동은 하위의 가치이며, 이러한 이원적 구조는 불변하고 인간은 하위 가치에서 상위 가치를 지향하는 존재이다. 이러한 입장에 근거하면 교육은 물질적인 가치를 벗어나 고정 불변의 상위 가치로 나아가는 것이 주된 목적이 된다. 이러한 이원론에 의하면 교육은 이론과 실제, 인문교육과 직업교육, 순수과학과 응용과학 등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이론 교과를 실제 교과보다 우위에 두고, .. 2023. 6. 18.
근대의 유아교육 – 몬테소리의 교육내용과 방법 1. 교육내용 1) 일상생활훈련 일상생활훈련은 실제 생활에서 경험하는 활동을 말한다. 일상생활은 유아가 일상적으로 관찰하는 것으로, 간단하고 반복적이며 구체적인 목표를 가지고 있어서 유아에게 친밀감을 제공하고 관심을 유발시킬 수 있다. 일상생활훈련은 생활구조나 생활양식을 유아가 단순히 흉내 내는 것이 아니라, 실제 생활환경에서 활동하면서 일상생활에 적응을 더 잘하도록 도와주는 것이다. 따라서 사회와 환경에 적응하며 이해력, 집중력, 독립심, 근육조절, 질서감 등을 발달시킬 수 있다. 또한 자신과 환경을 돌보는 습관을 만들고 공동체의 일원으로 활동하는 것을 배우는 등 통합적인 발달을 도모하여 올바른 인격형성의 바탕을 형성할 수 있다. 일상생활 영역은 유아의 독립심과 올바른 인성을 기르는 데 도움을 주는 교.. 2023. 6. 17.
근대의 유아교육 – 몬테소리의 교육사상과 교육원리 164쪽 1. 교육사상과 교육원리 1) 정상화 몬테소리는 교육의 목적을 ‘정상화(normalization)’라고 하였다. 정상화는 유아의 육체적·정신적 에너지가 상호작용하여 내면적 안정을 갖춘 조화로운 상태를 말한다. 정상화(正常化)는 유아가 자신의 내면적인 발달 욕구에 따라 작업에 집중하여 몰입하는 과정에서 내면에 잠재한 본래의 진정한 자기성장의 모습이 나타나는 것이다. 정상화된 유아는 작업과 반복을 좋아하고 자신의 발달 속도에 맞춰 활동하며 이러한 과정을 능동적으로 수행한다. 몬테소리는 유아는 놀라운 집중력을 발휘하여 반복적으로 작업하는 것을 좋아하고 스스로 자기훈련을 하는 잠재능력을 가지고 있다고 보았다. 유아는 준비된 환경에서 자신의 발달속도에 따라 스스로 선택한 활동을 통해 의미를 파악하여 내적.. 2023. 6. 16.
근대의 유아교육 – 몬테소리의 생애와 아동관 1. 생애 마리아 몬테소리(Maria Montessori, 1870~1952)는 1870년 8월 31일, 이탈리아의 키아라발레(Chiaravalle)에서 태어났다. 공무원이던 아버지로 인해 3세 때 플로렌스(Florence)에서 살다가 5세 때 로마(Rome)로 이사했다. 1876년, 6세 때 초등학교에 입학했고, 13세 때 ‘Regia Scuola Tecnica Michelangelo Buonarroti’라는 기술학교(technical school)에 들어가 모국어, 수학, 기하학, 대수학, 회계학, 역사학, 과학 등을 공부했다. 1886년, 16세에 기술학교를 우수한 성적으로 졸업하고 ‘Regio Istituto Tecnico Leonardo da Vinci’라는 공업학교(technical insti.. 2023. 6. 15.
근대의 유아교육 – 슈타이너의 인지학적 발달론 1. 인지학적 발달론 슈타이너는 인간의 발달을 연속 과정으로 보지 않고 단계적인 과정으로 보았다. 생명력과 인간에 대한 직관적 관찰을 통해 인간의 생애를 7년 주기로 나누었는데, 육체화는 7년을 주기로 다소 불연속적인 과정을ㅇ 거쳐 일생 동안 이루어진다. 그는 자아를 형성하는 초기의 7년 주기는 삶의 중반 이후에 건설적으로 또는 파괴적으로 반영되기 때문에 삶에서 대단히 중요한 시기라고 하였다. 슈타이너는 7년 주기의 리듬으로 구분되는 인간의 생애를 인간 본질의 네 가지 구성체와 연결하였다. 인간 본질의 네 가지 구성체 가운데 물질체의 탄생만 눈에 보이고 나머지 세 가지는 완전히 성숙되기까지 각각의 보호막 속에 싸여 있다. 물리적 신체의 보호막은 모태이고, 생명체의 보호막은 물리적 신체이며, 감정체의 보호.. 2023. 6. 14.
반응형